툭하면 직장내 괴롭힘 신고·소송…'오피스빌런'을 다루는 법

입력 2023-08-29 17:09  



기업은 직장 내 괴롭힘 신고자에게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할 수 없고, 위반시 형사 처벌될 수 있다(근로기준법 76조의3 6항). 2019년 제도 도입 이래 직장 내 괴롭힘 신고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신고자에 대한 징계, 보직전환 등 기업의 인사조치가 법상 금지된 불리한 처우인지를 둘러싼 분쟁도 늘어나고 있다.

직장 내 괴롭힘 신고자를 소위 ‘맞신고’하는 경우는 물론 신고자가 개인적 보복, 본인 잘못 감추기 등 부정한 목적으로 행하는 허위 신고, 상습적 악성 신고도 늘고 있다. 신고자 징계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지는 것도 이런 현상의 배경 중 하나다.

이와 관련, 기업이 직장 내 괴롭힘 신고 제도를 악용한 악성 신고자를 상대로 징계를 고려할 때 참고할만한 대법원 판결이 최근 나왔다(2023. 7. 13. 선고 2023두5623 판결. 이하 대상판결). 사안이 복잡하고 다른 쟁점도 있지만 필요한 한도에서 발췌 설명하기로 한다.

단, 밝혀둘 것은, 대상 판결은 직접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괴롭힘 신고’를 이유로 기업이 신고자에 내린 징계가 ‘불리한 처우’인지를 직접 다루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대상판결은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부패방지권익위법)’에 따른 ‘부패행위 신고’를 한 공직자에게 정부부처가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갑질)을 이유로 내린 직위해제가 동법이 금지하는 ‘불이익 조치’로 위법한지 문제를 다룬다.

부패방지권익위법은 '누구든지 부패행위 신고를 한 자에게 신고나 이와 관련한 진술, 자료 제출 등을 한 이유로 불이익조치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하고 있는데(62조 1항), 이는 신고자 보호라는 목적 면에서 근로기준법이 직장 내 괴롭힘 신고자에 대한 불리한 처우를 금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사안을 들여다보면 중앙 정부부처의 공무원 A는 일부 공무직원이 초과근무수당을 부정수급했다고 신고했다(부패행위 신고). 그런데 그 신고 직후, A가 초과근무수당 지급 업무 담당자로 지목한 공무원 B가 A를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갑질)으로 맞신고했다.

맞신고 골자는, A의 부패행위 신고는 예전 A의 오랜기간 지속된 갑질에 관해 본인이 인사고충을 제기한 것에 대한 보복성 신고라는 것이다.

이에 해당 정부부처는 B의 맞신고를 계기로 종전 A의 갑질에 대한 고충까지 대상으로 하는 광범위한 감사를 즉시 실행했고, 그 결과, A가 몇 년에 걸쳐 B는 물론 다수의 직원들에게 비인격적 언행 등 갑질을 했다는 결론을 내리고 A를 직위해제했다.

그러자 A는 직위해제 조치가 부패행위 신고를 이유로 한 불이익 조치라고 주장하면서, 국민권익위에 신분보장 조치를 신청했다. 그리고 국민권익위는 이 신청을 받아들여 해당 정부부처에 A의 직위해제 취소를 요구하는 결정(신분보장 조치)을 내렸다.

하지만 대상판결에서 대법원은 국민권익위와 달리 A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국민권익위가 내린 신분보장 조치 취소를 명했다. 사안에서 '충분하고도 명백한 증거'에 의하여 A의 부패행위 신고와 관련된 경위 자체가 없었더라도 A에게 직위해제가 내려졌을 것이라는 점이 증명되었다는 것이다. 직위해제 적법성 판단에는 해당 정부부처가 직위해제 사유를 알게 된 경위, 직위해제 사유의 내용 및 위법·부당의 정도, 직위해제 관행 등을 고려해야 하고, 이 기준에 따르면 A의 직위해제는 적법하다고 했다.

이러한 대상판결은, 직장 내 괴롭힘 제도를 악용한 악성 신고자의 징계 문제를 다루는 기업이 가져야할 태도에 관해 몇가지 시사점과 생각할 거리를 남긴다.

우선, 기업은 직장 내 괴롭힘 신고자에 대한 맞신고가 있는 경우, 신고자의 행한 위규행위 양상, 위법성, 종전 징계 관행과 일관성 등을 고려하여 신고와 관련된 경위가 없었더라도 신고자를 징계했을 것이라는 사정이 '충분하고도 명백한 증거'로 입증되면 신고자 징계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특히 맞신고 시점이나 징계 시점이 신고 시점과 시간상 근접해도 변함이 없다. 따라서, 악성 신고임이 명백하거나 강하게 의심되고, 피신고자 보호와 사내 질서 유지를 위해 필요할 때는 신속하게 신고자에 대하여 조사를 하고 징계를 실행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직장 내 괴롭힘 신고자에 불리한 처우와 관련, 지금까지 리딩케이스라고 할만한 하급심 판결(2021노438)을 보면, 사업주가 신고일로부터 약 30일 후에 불리한 처우(전보조치)를 했다. 동 판결은 이런 시간적 근접성을 신고를 이유로 한 불리한 처우임을 인정하는 하나의 근거로 들고 있다.

그러나 대상판결 사안도 맞신고가 신고일로부터 7일, 직위해제는 신고일로부터 약 1개월 반만에 이루어졌다. 신고일과 대응조치(직위해제)간 시간적 근접 정도가 하급심 판결 사안상 근접 정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대상판결은 직위해제가 불이익 조치가 아님을 인정한 것이다. 시간적 근접성 때문에 기업이 악성 신고를 대처 못하거나, 대처를 미루어야 하는 필연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단, 악성 신고임이 의심되더라도, 신고자에 대해 맞신고 직후 즉시 조사를 실행해서 신속히 징계를 실행하면 상당한 반발과 그에 따른 위험을 각오해야 한다. 대상판결은 이 점을 잘 보여준다. 사안에서 정부부처는 맞신고일로부터 3일 후 조사에 착수하여 약 1개월 후 A를 직위해제했는데, A가 이에 반발함으로써 직위해제일로부터 대상판결로 최종적으로 대법원에서 분쟁이 해결될 때까지 약 3년 5개월이 걸렸다.

따라서 직장 내 괴롭힘 신고와 맞신고가 있으면, 기업은 우선 괴롭힘 신고에 대한 조사와 조치를 마친 후 맞신고를 조사하고 신고인에 대한 불이익 조치를 진행하는 것도 고려해야 하는 방안이 된다. 특히 신고가 허위이거나 부정한 의도가 있는 악성 신고임이 짧은 기간 내에 쉽게 입증될 수 있어 피신고인에게 징계 등 불리한 조치가 행해지지 않을 것이 예상되는 경우 그러하다. 직장 내 괴롭힘 신고를 이유로 불리한 처우를 했다면 기업에 형사 책임이 인정되는데, 이 점을 악용해 기업이 신고자 본인을 징계하면 고소를 통해 분쟁을 확대하려는 신고인도 있는 점을 감안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단, 기업은 악성 신고에 대하여 즉시 대응하는 경우이건 먼저 그 신고를 다루면서 차근차근 대응하는 경우이건 간에, 대상판결에서 정부부처가 보여준 결연하고 단호한 태도가 가진 가치를 인식해야 한다. 그러한 당당함이 악성 신고로부터 기업 질서를 보호하고, 장기적으로 직장 내 괴롭힘 제도에 대한 사내 구성원의 신뢰를 확보하여 제도의 실효성을 살리는 길이다.

이러한 기업의 기본 자세와 관련, 대상판결의 원심판결 (2심. 2021누63022) 중 새겨둘 부분을 인용한다.

"만일 부패행위 신고가 불이익 조치에 시간적으로 앞선다거나, 불이익 조치에 관한 '절차의 개시'와 부패행위 신고 사이에 다소간의 관련성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어떠한 예외도 없이... 일률적으로 신분보장 등 조치 결정을 하게 된다면, 위법?부당한 행위 또는 비위나 일탈 행위를 저지른 자가 자신의 행위에 상응하는 불이익 조치로부터 면제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부패행위 신고를 함으로써 부패방지권익위법상의 제도를 악용하는 부당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조상욱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노동조사센터장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